portfolio

Docker(도커) 및 Docker로 Apache서버 띄우기 실습

홍순2 2024. 1. 10. 01:18

1.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 (버전 관리가 용이하다)
도커는 리눅스 운영체제를 갖추고 있고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격리시키는 기능이다 도커가 필요한 이유는 다함께 개발을 할때 예를들어 MYSQL 데이터 베이스 버전5.0, 또 다른 쪽은 버전 8.0이면 문제가 생기곤하는데 이때 도커를 사용하면 각각에 컨테이너를 만들어 따로 격리시킬수 있다. 그리고 여러 컨테이너 안에서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. 워드프레스 프로그램을 사용하려면 아파치(웹서버), MYSQL(데이터베이스), 워드프레스가 필요한데 이들을 각각 별도의 컨테이너로 구성할 수 있다. 도커에 원칙중에 하나에 컨테이너에 한 프로그램이 원칙이다. 그런데 여기서 버전이 바뀌면서 컨테이너를 폐기하고 새로운 버전으로 만들면 데이터는 사라질 위험이 있어서 이것을 방지하고자  데이터는 외부로 저장하고 연결시켜준다.
 
 
2. 도커의 장점 (한대에 물리서버에 여러개의 서버를 띄울 수 있다.)
도커는 서버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. 서버란 어떤 서비스(service)를 제공(serve)하는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웹서버 ( ex)아파치 ), 메일을 수신하고 송신하는 메일서버 ( ex)Sendmail,Postfix )가 있다. 필요할때마다 여러개의 서버를 띄울수도 있다.
 
 
3. 컨테이너 통신 실습
아파치 웹서버를 띄어보기로 한다 먼저 아파치 이미지(httpd)를 사용해 컨테이너를 생성한다 
--name apa000ex2 (apa0002x2라는 이름으로 컨테이너 생성)
-d (백그라운드로 실행)
-p 8000:80 (로컬호스트 8000포트 연결)
httpd (아파치 이미지 이름)
 

5a67ab3075d0fcfee011abf94b01045e32c0c6672abc9c9436b899e6efd41248라는 컨테이너 ID가 생성된다.

 
 

STATUS를 보면 현재 컨테이너가 실행중이라고 뜬다.

 

로컬호스트 8000 아파치 초기화면이 뜬다.

 
 
 
마지막으로 아파치 종료 및 삭제를 시킨다. 
docker stop apa000ex2 (종료)
docker rm apa000ex2 (삭제)
 

 

https://www.yes24.com/Product/Goods/108431011

그림과 실습으로 배우는 도커 & 쿠버네티스 - 예스24

컨테이너나 도커를 도통 이해하기 어려운 분들을 위한 본격 도커 입문서!이 책은 컨테이너 기술이 어렵게 느껴지는 엔지니어나 백엔드 기술에 자신이 없는 분들을 위한 도커 입문서다. 자세한

www.yes24.com